본문 바로가기

재테크4

[국내ETN] 미래에셋 미국 고배당주 ETN(H) (590017) - 기초지수/수익률, 귀족주 뜻, ETF/ETN 차이 오늘 알아볼 상품은 미래에셋 미국 고배당주 ETN(H)(종목번호 590017)이다. 주식을 조금 공부하다 보니 귀족주라는 말이 자주 들려서 의미를 찾아보던 중 발견한 상품이다. ETN이 무엇이냐. 나도 몰라서 찾아봤다. (당당!) ETF의 개념에 대해서는 전 글에서 간단히 알아보았으니, ETF와 ETN의 공통점, 차이점에 대해 비교해보면서 알아보자. 📌ETN: 상장지수채권(Exchanged Traded Note)이다. 상장지수펀드인 ETF와 마지막 단어만 다르다. 그래서 ETF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증권사를 안 끼고도 손쉽게 사고팔 수 있다. 그렇지만 ETF가 실제 주식을 소유하여 수익을 내는 반면, ETN은 기초지수의 수익률에 연동하는 수익을 지급하는 것이다. 그래서 ETN은 조금 더 유의해야 .. 2020. 3. 29.
[재테크] 재테크/경제공부에 추천하는 뉴스레터 top 3 : 어피티, 순살브리핑, 부딩 요즘 다시 뉴스레터가 인기다. 가벼운 정보들만 넘쳐나는 시대에 줄글이더라도 알차고 깊이 있는 정보를 얻고 싶다는 생각은 다들 비슷한 걸까. 미국에서 조금씩 퍼져 나가더니 한국에도 트렌드가 시작되는 모양이다. 벌써 10만 구독자를 돌파한 밀레니얼을 위한 신문, 뉴닉을 선두로 여러 뉴스레터들이 생겨났는데, 그 중에서도 재테크와 경제 관련 소식에 특별히 집중하고 있는 뉴스레터들을 소개하겠다. (비즈니스 관련 뉴스레터는 또 따로 소개를 쓰려고 한다) 덕분에 아주 유식해지는 기분이다! 1. 어피티 UPPITY 오늘 소개할 내용 중에서 가장 유명한 뉴스레터가 아닐까 싶다. 최근에 일어난 이야기를 중심으로 관련주들을 살펴보는 오늘의 증권, 금융 제도나 상품을 뜯어보는 필수 금융경제 정보, 여러 직장인들의 솔직한 연봉.. 2020. 3. 29.
[재테크] 재테크 어플 추천, 내가 가계부 앱으로 뱅크샐러드를 쓰는 이유 5가지 뱅크샐러드는 내가 가장 좋아하고 자주 들어가는 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뱅크샐러드(뱅샐)은 가계부 겸 재테크 앱인데, 사용법도 간편하고 보는 것도 편하다. 가계부 앱을 이것저것 많이 기웃거렸는데 뱅샐이 가장 편하다. 월간 정산을 할 때에도 뱅크샐러드에서 확인한 소비 내용을 바탕으로 삼아 엑셀로 계산하고 있다. 내가 뱅크샐러드를 추천하는 이유를 다섯 가지로 나눠서 소개해보겠다. 1. 원하는 모든 정보가 있습니다 가계부 앱의 기본 자질 아닐까. 일단 연동되는 정보가 많다. 각 금융사에 한 번만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면 (공인인증서가 필요 없다!) 내 입출금계좌, 예적금계좌, 증권사 계좌, 주식들 등 자산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특히 주식이나 펀드 같은 투자 자료는 현재 가격이 반영되어서 바로바.. 2020. 2. 7.
[적금추천] 세금우대저축이란? 적금 소득세 줄이는 법 (새마을금고 MG New정기적금) 적금 이율이 5%가 넘는 게 가끔 있지만, 중요한 건 예적금에 세금이 15.4%나 붙는다는 점이다. (소득세 14%, 농특세 1.4%) ​ 이걸 조금이나마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세금우대저축. 세금우대저축은 상호금융에서 적금 등을 가입할 경우 이자소득세를 감면해주는 저축상품이다. 별도 가입이 필요한 건 아니고 해당 기관에서 예금상품의 과세구분을 세금우대저축으로 하면 된다. ​ 세금우대저축의 경우 원래 소득세 면제였던 걸로 알고 있는데 몇년 전에 세법이 바뀌어서 2020년 이후 발생하는 소득에서는 이자소득세 9%, 농특세 0.5%로 나와있다. ​ 2018년까지 발생하는 이자소득에는 1.4% (이자소득세 0%, 농특세 1.4%), 2019년에 발생하는 이자소득에는 5.9% (이자소득세 5%, 농특.. 2020. 2. 5.